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resource_id=https%3A%2F%2Fwindjeff.tistory.com%2F
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치

임종석 프로필 비서실장 이재명관련 발언 총정리

by 데쉬 2025. 2. 3.
반응형

 

 

1. 임종석 프로필

이름 임종석
생년월일 1966년 4월 24일 (만 58세)
출생지 전라남도 장흥군
학력 한양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졸업
가족 배우자 김소희, 딸 1명
종교 천주교
주요 경력 16·17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대통령 비서실장 (2017~2019)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학생운동권 출신으로 1989년 전대협 3기 의장을 역임하며 사회운동에 뛰어들었고, 이후 정치권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습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활약하며 남북 관계 및 외교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국회의원 시절 주요 행보

 

임종석 전 실장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정치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였습니다.

이후 제17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하며 열린우리당 대변인을 역임했습니다.

그의 주요 의정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 과거 학생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보안법 철폐를 강하게 주장.
  • 대북 교류 확대: 남북 화해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
  • 진보적 입장 표명: 노동·복지 정책 강화를 위한 다양한 입법 활동 수행.

그러나 제18대 총선에서는 낙선하면서 한동안 정치권을 떠나 있었습니다. 이후 **서울시 정무부시장(2014~2015)**을 역임하며 행정 경험을 쌓았고,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비서실장으로 복귀했습니다.


3. 문재인 정부 비서실장 시절

3-1. 남북 정상회담 및 외교 활동

출처: 동아일보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초대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그는, 대통령을 보좌하며 청와대의 핵심 실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을 맡아 실무를 총괄하였습니다.

 

 

남북 정상회담 주요 역할내용
 
4·27 판문점 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김정은 위원장 회담 조율
9·19 평양공동선언 남북 교류 및 비핵화 합의 이행 점검
UAE 특사 파견 아랍에미리트 외교 갈등 해결

하지만 비서실장 재임 기간 권력 집중과 인사 문제 논란도 있었습니다. 일부에서는 **"제왕적 청와대 운영"**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3-2. 비서실장 재임 중 논란

  • 청와대 공직기강 해이 논란: 일부 참모들의 음주운전·폭행 문제로 도덕성 논란 발생.
  • 측근 인사 중용 논란: 친문(親文) 인사들의 요직 배치가 공정하지 않았다는 지적.
  • 조기 사퇴 배경: 2019년 1월, 문재인 정부 중반에 사퇴하면서 여러 정치적 해석이 나옴.

 

4. 최근 논란: ‘두 국가론’ 발언

 

2024년 9월, 임 전 실장은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통일 논의를 계속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그는 **"남북이 적대적인 두 국가로 자리 잡았다"**며 사실상 기존의 통일 담론을 부정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발언이 나오자 정치권에서는 강한 반발이 있었습니다:

  • 보수 진영: "대한민국 헌법상 대한민국은 단일 국가이며, 북한을 별도의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위헌적 발상"이라며 강하게 비판.
  • 더불어민주당 내 갈등: 민주당 내부에서도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신과 어긋난다"는 의견이 제기됨.

한편, 임 전 실장은 **"현실적인 남북 관계를 인정해야 한다"**며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5. 이재명 비판 및 당내 갈등

임종석 전 실장은 최근 이재명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민주당 내 계파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의 주요 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민주당이 국민 신뢰를 잃었다."
  • "대화와 타협 없이 강경한 정치만으로는 지지율을 올릴 수 없다."
  • "패배의 책임을 문재인 정부에 떠넘길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성찰해야 한다."
    출처: 임종석 페이스북

이 같은 발언은 당내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고, 친명(親明)계 의원들과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반면, 비명(非明)계에서는 그의 발언을 적극 지지하는 분위기입니다.

 
주요 반응내용
친명계 "대선 패배 책임을 문재인 정부로 돌리는 것은 옳다."
비명계 "이재명 중심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처럼 민주당 내 계파 갈등이 심화되면서 차기 총선과 대선 정국에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앞으로의 전망

  • 정계 복귀 가능성: 임 전 실장은 2024년부터 정치적 행보를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있으며, 차기 총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됨.
  • 민주당 내 계파 갈등 격화: 이재명 대표 체제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향후 민주당 내 분열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음.
  • 남북 관계 입장 변화 여부: 그의 '두 국가론'이 현실적으로 적용될지 여부에 대한 논쟁 지속될 전망.

마무리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학생운동가에서 시작해 국회의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거친 인물로, 여전히 정치적 영향력이 큽니다.
최근 이재명 대표와의 갈등, '두 국가론' 논란, 차기 총선 및 대선 전망 등이 그의 정치적 행보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앞으로 그의 발언과 행보가 어떻게 이어질지 주목해봐야 할 것입니다.

 
 
 
 

딥씨크 Deepseek AI 관련주 총정리

최근 중국에서 무료로 공개된 AI 모델 "딥씨크(DeepSeek)"가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오픈AI의 ChatGPT 무료 버전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품질의 답변을 제공하며, 개발비용은 훨씬 적게 들었다고 알

windjeff.tistory.com

 

 

기초생활수급자 자동차 보유기준 쉽게 총정리

자동차 보유, 기초생활수급자 가능할까? 2025년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저소득층 가구의 기본적인 생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준과 혜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재산으로 간주되

windjeff.tistory.com

 

 

 

요즘 가장 핫한 미국 ETF 10가지 추천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로,투자자들에게 다변화된 투자와 낮은 비용을 제공합니다.최근 몇 년간 미국 시장에서 ETF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다양한 섹터와 테

windjeff.tistory.com

 

 
반응형